제목 | 대천4동 |
---|---|
구분 | 지명유래 |
내용 | 대천4동 보령시의 5개 동 중 하나이다. 1986년 대천시 승격과 더불어 명천동과 궁촌동을 합하여 흥덕굴의 이름을 따 흥덕동이라고 하였다. `95년 대천시와 보령군의 통합으로 인하여 시의 명칭이 보령시로 됨에 따라 그동안 지명도가 높았던 대천이란 지명이 사라지게 되어 다수의 시민들이 아쉬움을 가지고 있어 시민들로부터 대천지명을 살리자는 여론이 조성되어 `99. 3. 15 대천지명찾기 운동 추진위원회로부터 동지역 주민 29,640명의 서명 및 날인을 받아 행정동의 명칭을 변경해 달라는 청원서가 접수되어, 이에 `1914년부터 대천이라 불려지던 옛 행정구역 명칭을 회복하여 주민의 자긍심과 애향심을 고취시키고,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진 대천이라는 지명을 사용함으로써 관광객의 이해을 돕기위해 보령시조례 제368호(`99.7.20)의거 흥덕동에서 대천4동 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음. 궁촌동(宮村洞) 본래 보령군 우라면(于羅面)의 지역으로서 궁들(굼들) 가운데 이룩된 마을이므로 굼마을 또는 궁말, 궁촌(宮村)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흥동(興洞)일부를 병합하여 궁촌리라 해서 대천면(읍,시)에 속하였다. 1986년 대천시 승격과 함께 궁촌동이 되었다. 과거 대천시 지역에서 가장 좁은 면적을 가진 동(洞)이다. 북쪽 경계는 대천천이며 동쪽 경계는 옛 수청삼거리로 통하는 도로이다. 따라서 철도 서쪽으로 궁촌동과 이어지는 취락중에도 일부는 명천동에 속한다. 서남쪽 경계는 궁촌내와 궁촌들의 옛 수로이다. `95년 대천시와 보령군의 통합, 보령시로 되었음. ◎ 궁리(궁리) : 궁말의 한자 표기 ◎ 궁말 : 궁촌의 원 이름이다. 옛날 궁(宮)의 땅이라 해서 궁말이라고 했다는 전설도 있고, 아주 가난하게 살았다고 해서 궁말이라고 했다는 전설도 있다. 여지도서에는 궁리(宮里)로 표기되어 있다. ○ 궁촌1통1반 : 궁촌동1-1, 1-5, 2-1, 3-4, 4-6, 7-25, 13-1, 32-2, 40-2, 42-5, 42-6, 42-7, 42-16, 43-1, 43-23,44-2, 44-17, 49-22, 50-1, 50-5, 50-6, 50-7, 50-10, 50-17, 51-5, 51-8, 51-10, 51-11, 52-7, 52-8, 52-9, 53-5, 54-1, 54-2, 54-4, 55-1, 55-2, 55-6, 55-9, 55-10, 60-7, 79-1 일원 2반 : 궁촌동 2-14, 30-5, 30-7, 30-9, 30-11, 30-67, 30-72, 30-73, 30-74, 30-88, 34-1, 35-1, 38, 39, 40-1, 41-4, 41-7, 41-8, 41-9, 42, 42-6, 42-7,43-2, 44-17, 44-34, 44-39, 44-40, 44-45, 45-3, 46-6, 60, 76-1, 79-7, 91, 94, 204, 234, 235, 236, 243-2, 253, 258-1, 271, 272, 331일원 3반 : 궁촌동 27-5, 27-8, 27-9, 30, 30-5, 30-6, 30-9, 30-12, 30-14, 30-15, 30-75, 30-78, 30-88, 34-1, 38, 43-2, 44-9, 44-15, 57, 57-1, 60, 96, 97, 99, 99-3, 100-2, 101-2, 123-1, 125-1, 198, 216일원 ○ 궁촌2통1반 : 궁촌동 28-3, 28-7, 29-3, 30, 30-21, 30-33, 30-35, 30-37, 30-48, 30-54, 30-55, 30-57, 30-58, 30-66, 30-91, 30-98, 130, 180-1, 181일원 2반 : 궁촌동 26-1, 30, 30-7, 30-21, 30-22, 30-27, 30-28, 30-30, 30-31, 30-32, 30-39, 30-41, 30-44, 30-45, 30-46, 30-47, 30-50, 30-52, 30-58, 30-,68, 30-70, 30-82, 30-95, 30-97, 30-99, 33-3, 33-5, 34, 34-33, 34-44, 107-75, 109-90, 150-3, 153-4, 164-1 일원 3반 : 궁촌동 29-4, 101-5, 106-2, 106-4, 106-5, 106-6, 106-9, 106-11, 106-14, 109, 109-74, 109-78, 109-81, 109-84, 109-85, 109-86, 109-89, 109-90, 109-91, 109-92, 109-100, 127, 129, 146, 146-2, 166, 156-12, 171-4, 180-5, 191, 328일원 4반 : 궁촌동 104, 108-63, 109, 109-35, 109-59, 109-61, 109-62, 109-64, 109-65, 109-66, 109-67, 109-69, 109-70, 109-80, 109-85, 109-99, 109-100, 109-101, 109-107, 113, 124-2, 135-2, 178-2일원 ◎ 대꼬지들 : 궁말과 대천천 사이의 들이다. ◎ 대리밑들 : 상보 근처의 다리 밑 들이라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동산 남쪽 철도 서쪽에 있는 들 ◎ 동산 : 동양 자동차학원 밑에 있는 동그란 산으로 산의 서쪽은 궁촌동에 속하고 동쪽은 명천동에 속한다. ◎ 마려들 : 궁촌내와 내항동 사이에 있는 들이다. 내 건너에 있는 궁촌동에 속한 들이다. ◎ 상보 : 남포면과의 접경에 있는 보이다. ◎ 아랫뜸 : 궁말의 서쪽으로 예부터 가옥이 밀집되어 있어 궁말의 중심을 이루었다. 마을에서 위하던 팽나무가 있었는데 아직도 남아있다. 둘레가 약 2m이며 주민들은 이나무를 자르면 불길하다고 믿고 있다. ◎ 앞냇갈 : 궁말 남쪽에 있는 하천이다. ◎ 연애보 : 궁말 남쪽에 있는 보이다. ◎ 원안보 : 궁말 냉동공장 남쪽에 있는 보이다. ◎ 윗뜸 : 궁말의 동쪽으로 이 곳은 원래 논이 대부분이었다. 윗뜸에는 두아름이나 되는 팽나무가 신수(神樹)로 위해졌고, 옆에는 대동샘이 있었다. 팽나무 주변에는 일반적인 서낭처럼 돌무더기는 없었고 나무에 헝겁이나 새끼줄을 매달고 떡을 해 놓았었다. 이 팽나무는 20여년전 불에 타 없어졌다. 명천동(鳴川洞) 본래 보령군 우라면(于羅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어전리(於田里), 명암리(鳴岩里), 송정리(松亭里), 이천리(伊川里), 흥동(興洞) 일부를 병합하여 명암(鳴岩)과 이천(伊川)의 이름을 따서 명천리라 하여 대천면(읍,시)에 편입됨. 1986년 대천시 승격과 함께 명천동으로 부르게 되었다. `95년 대천시와 보령군의 통합, 보령시로 됨 ◎ 개첨벌 : 송정 저수지 동북쪽에 있는 평지이다. ◎ 곱돌백이 : 양수장 뒤 느랏과 송쟁이 사이에 있는 낮은 언덕으로 곱돌(활석)이 산출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 개차밭골 : 송정 저수지 밑 골짜기이다. ◎ 꼬치말림 : 오막당 남쪽 언덕이다. ◎ 꾸지밭 : 명암 서남쪽에 있는 밭으로 꾸지뽕 나무가 많아서 붙임 이름이다. ◎ 너분내골 : 너분내가 흘러오는 골짜기이다. ◎ 너분내 : 동대동과 명천동의 경계를 이루는 내이다. 넓은 하천이라 너분내라 하였다 한다. ◎ 느랏 : 흥덕굴 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이천에서 종축장 가운데를 통하여 큰 길이 나 있었다. 1930년대에는 5집 정도가 거주하였는데 수리 시설이 좋아진 후 인구가 급증하였다. ◎ 느리재골 : 송정 저수지 윗쪽의 성주산 계곡이다. ◎ 당마루들 : 느랏 북쪽에 있는 들이다. ◎ 당산 : 명암 저수지와 송정저수지 사이에 있는 산으로, 해발 86.9m이다. ◎ 당산벌 : 꾸지밭 남쪽에 있는 들이다. ◎ 돌새논 : 이천(伊川) 방앗간 앞의 논이다. ◎ 두마디골 : 명암 저수지 동북쪽 골짜기. 이곳에 있는 논이 두마지기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광산 개발로 물이 나지 않아 폐답되었다. ◎ 뒷동산 : 명암 동쪽 명암과 산업도로 사이에 있는 산이다. ◎ 뒷산모탱이 : 뒷산의 서북쪽 모퉁이이다. ◎ 뒷산 : 송정 저수지 남쪽에 있는 산으로 송쟁이 뒤에 있어서 붙인 이름이다. ◎ 등잔거리 : 옥마역 위의 산줄기이다. ◎ 등타락골 : 송정저수지 동남쪽 계곡이다. ◎ 맷독거리 : 장항선 국도 주변으로 남포면과의 경계에 위치한다. 덕수연탄공장 주변이다. 옛날 연자방아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전설에 의하면 옛날 성주사에서 바래기재를 넘어 이곳에 와서 방아를 찧어 갔다고 한다. ◎ 명암(鳴岩) : 평섶 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옛날부터 가옥이 상당히 밀집된 큰 동네이다. 1960년내 명암(鳴岩), 송정(松亭), 이천(伊川), 흥곡(興谷), 수청동(水淸洞)의 명천(鳴川) 5구(區) 중 하나이다. ○ 명천1통1반 : 명천동 60, 76, 76-2, 85, 94, 95, 95-1, 95-16, 101-8, 101-12, 101-17, 101-35, 105-1, 105-2, 105-5, 105-9, 105-10, 105-18, 105-22, 106-10, 106-18, 111, 112, 124, 산1, 산7, 산8, 산32-5, 산32-10, 산33-15, 산50, 산59-1, 산60-7, 산61일원 2반 : 명천동 63, 89, 95, 97, 99, 101, 101-2, 101- 14, 106-1, 106-4, 110, 112, 116-1, 117-1, 117-2, 120, 123-3, 124, 124-1, 124-4, 124-5, 124-7, 124-18, 125, 126, 127-8, 129, 130, 140-4, 172-6, 산7-10, 산47일원 ○ 명천2통1반 : 명천동 14, 29, 34, 36, 65, 66, 89-3, 89-4, 132, 182, 200-3, 204, 204-1, 212, 212-1, 213, 215, 216, 223, 230, 239, 240, 253, 257, 258, 259-12, 742-13, 751-3, 산5-12, 산5-13, 산5-14, 산7-15, 산8-2, 산9-1, 산12, 산12-1, 산12-68, 산30-1일원 2반 : 명천동 5-3, 12-13, 13-7, 13-10, 15, 15-1, 15-3, 16, 18, 20-1, 20-4, 21, 22, 23-1, 25-3, 26-5, 43, 83, 137, 157, 182, 201, 225, 240, 257, 286, 307, 377, 627, 927, 산12-34, 산13, 산19-2, 산20-4, 산30-1, 산32-1일원 3반 : 명천동 52-3, 53, 150, 157, 158, 161, 193, 212-1, 213-1, 213-5, 214-1, 215, 230, 232, 233, 234, 239, 240, 295, 310, 553, 554, 734, 736, 741, 742-4, 742-16, 산13-3, 산14-7, 산19-1, 산53일원 4반 : 명천동 5-3, 130, 208-1, 256, 259-22, 260, 261-1, 261-2, 265-1, 265-2, 268-1, 286, 331, 산6, 산13, 산29-9, 산72일원 ○ 명천3통1반 : 명천동 595-5, 595-9, 630, 734, 769-4, 772, 780-1, 789, 790, 798, 805, 807, 812, 814, 818, 820-4, 823-2, 825, 826, 828, 835, 841, 842, 844, 854-2, 854-4, 855, 861, 861-1, 862, 863-1, 884-1, 902-1, 958-3, 971, 972, 산63-3, 산64-4, 산66-4, 산794-6, 산799-10 일원 2반 : 명천동 625-2, 765, 775, 778, 779, 799, 811, 816, 820-5, 826, 827, 829, 851, 852, 853, 864, 867, 868, 873, 874-2, 875, 875-4, 878-5, 882, 888-1, 896-2, 900, 909, 917-1, 921-2, 921-4, 939, 940, 972-2, 972-6, 972-13, 산53-1, 산55-1일원 3반 : 명천동 642, 688, 786, 814, 816, 840, 861-3, 901, 904, 905, 914, 915, 915-1, 915-5, 916, 917-1, 917-3, 922-2, 923-1, 924-4, 927-7, 929-6, 930, 930-1, 931-1, 934, 936, 941, 941-1, 942, 944, 944-2, 948, 948-2, 953-1, 953-3, 955-2, 972-6, 972-21, 산65일원 4반 : 명천동 604, 609-5, 611, 612, 618, 623-1, 625-2, 627, 627-3, 627-6, 627-13, 636-4, 644, 644-11, 646-1, 646-4, 648-5, 688-6, 924-6, 927-4, 936-4, 944, 953-2, 955-2, 956, 956-1, 958-2, 972-4, 972-25, 972-32, 972-41, 972-45, 972-48, 972-64, 972-84일원 ○ 명천4통1반 : 명천동 272-6, 274-3, 278-2, 279, 282-9, 287, 287-1, 309, 313, 314-2, 314-3, 321-1, 322-1, 322-4, 322-5, 326, 327, 328-1, 340-7, 340-19, 340-29, 340-35, 511-1, 511-7, 511-40, 528-6, 530, 555, 산38일원 2반 : 명천동 128, 278-2, 279, 283-2, 285, 286, 287, 287-1, 282-9, 298-11, 298-12, 299-11, 304, 307, 307-2, 308, 309, 311, 311-1, 311-7, 327, 339-1, 340, 340-19, 340-35, 345, 516, 517, 528-5, 528-6, 532, 550, 552-2, 552-7, 552-8, 552-9, 552-25, 563-1일원 3반 : 명천동 309, 312, 424-5, 437-3, 442-16, 519, 524-1, 524-4, 525-3, 526-8, 528, 528-1, 528-2, 528-3, 528-4, 528-5, 528-4, 528-10, 529, 530, 530-1, 530-4, 531, 531-5, 531-8, 631-10, 531-12, 552-12, 555-2, 555-7, 555-27, 585일원 4반 : 명천동 507, 511-9, 511-19, 511-40, 511-43, 511-46, 512-1, 512-7, 515, 518-1, 518-11, 518-16, 518-21, 519-13, 519-14, 519-15, 520, 521-2, 522-2, 522-10, 526-8, 528, 531-8, 555, 557-5, 806, 산30-4, 산38, 산40, 산41-2일원 ○ 명천5통1반 : 명천동 308, 442-7, 442-8, 442-14, 442-16, 508 -19, 510, 510-10, 510-16, 511, 511-1, 511-2, 511-4, 511-14, 512, 513, 513-5, 513-8, 513-10, 514-6, 514-11, 518, 552-3, 556-3, 558-4, 558-21, 558-25, 566-5, 566-8, 567, 567-6, 567-9, 567-13, 600-2, 600-3, 603, 910, 산8, 산38, 산38-1, 산48-17일원 2반 : 명천동 442-7, 442-8, 442-10, 442-14, 442-17 , 508, 509, 510-21, 512, 513-3, 513-7, 514-1, 515-2, 515-3, 515-11, 518-9, 518-12, 518-13, 528-15, 555, 555-4, 558, 558-4, 558-23, 567-9, 566-4, 566-8, 567, 570-3, 570-8, 570-10, 570-11, 570-18, 산43, 산45-1일원 ○ 명천6통1반 : 명천동 476-2, 479-5, 479-8, 481, 481-1, 481-8, 482-1, 482-4, 482-5, 482-6, 483-1, 483-2, 483-6, 484-2, 484-3, 484-8, 485-2, 485-3, 485-5, 486-3, 486-4, 487, 487-1, 487-5, 488-4, 488-5, 488-7, 489-4, 491-17일원 2반 : 명천동 479, 485-5, 486-1, 486-2, 486-3, 487-1, 487-4, 487-5, 487-10, 487-11, 487-14, 487-16, 488-3, 488-4, 488-8, 494-39, 494-41, 494-42, 495-26, 505-9일원 3반 : 명천동 486-3, 491-3, 491-9, 491-13, 491-14, 491-16, 491-17, 494-1, 494-2, 494-4, 494-5, 494-9, 494-12, 494-15, 494-16, 494-21, 494,23, 494-24, 494-26, 494-28, 494-31, 494-32, 494-33, 494-34, 494-37, 494-42, 494-43, 494-48, 494-50, 495-25, 495-26, 498-3, 498-15일원 ○ 명천7통1반 : 명천동 436(명천주공아파트 101동) 2반 : 명천동 436(명천주공아파트 102동) 3반 : 명천동 436(명천주공아파트 103동) 4반 : 명천동 436(명천주공아파트 104동) 5반 : 명천동 436(명천주공아파트 105동) 6반 : 명천동 436(명천주공아파트 106동) 7반 : 명천동 436(명천주공아파트 107동) 8반 : 명천동 436(명천주공아파트 108동) 9반 : 명천동 436(명천주공아파트 109동) ○ 명천8통1반 : 명천동 272-6 (대보사택 1동~7동) 2반 : 명천동 272-6 (대보사택 8동~12동) ○ 명천9통1반 : 명천동 443-10, 443-21, 443-22, 443-23, 443-37, 463-6, 468-1, 479-4, 479-6, 479-10, 480-4, 480-7, 489-5, 495-11, 495-14, 495-16, 495-19, 495-20, 495-22, 495-23, 495-24, 496-7, 496-12, 496-19, 496-24, 498-5 일원 2반 : 명천동 443-7, 443-17, 443-21, 443-22, 444-23, 443-25, 450-1, 479, 479-5, 495-14, 495-20, 496-2, 496-5, 496-8, 496-9, 496-11, 496-12, 496-14, 496-16, 496-19, 496-24, 497-4, 497-5, 498-6, 498-23일원 ○ 명천10통1반 : 명천동 404 (동대주공3차아파트118동) 2반 : 명천동 404 (동대주공3차아파트119동) 3반 : 명천동 404 (동대주공3차아파트120동) 4반 : 명천동 404 (동대주공3차아파트121동) 5반 : 명천동 404 (동대주공3차아파트122동) 6반 : 명천동 404 (동대주공3차아파트123동) 7반 : 명천동 404 (동대주공3차아파트124동) ○ 명천11통1반 : 명천동 413 (명천주공2단지 201동) 2반 : 명천동 413 (명천주공2단지 202동-1~8층) 3반 : 명천동 413 (명천주공2단지 202동-9~15층) 4반 : 명천동 413 (명천주공2단지 203동-1~8층) 5반 : 명천동 413 (명천주공2단지 203동-9~15층) ○ 명천12통1반 : 명천동 413 (명천주공2단지 204동) 2반 : 명천동 413 (명천주공2단지 205동) 3반 : 명천동 413 (명천주공2단지 206동) 4반 : 명천동 413 (명천주공2단지 207동) ◎ 명천폭포 : 숨방골 위에 있는 폭포로 과거에는 수량이 풍부하여 절경을 이루었으나 광산개발로 지표수가 고갈되어 비가 많이 와야 폭포를 이룬다. 겨울에는 물이 얼어 아름다운 병폭을 이룬다. 토속 신앙을 믿는 사람들이 기원하는 장소로 많이 이용하여 폭포 밑에는 많은 재물들이 있다. ◎ 밤나무골 : 성주암이 있는 성주산 골짜기이다. 작은 골의 남쪽이다. ◎ 백마골 : 뒷동산 동남쪽 골짜기이다. ◎ 버드나무집 : 으름내 삼거리 아랫쪽의 집. 집 밑에 4아름 정도의 큰 버드나무가 있 었다. 버드나무에 마을 사람이 제를 지내기도 하였다. ◎ 벗구논 : 청룡굴 밑에 있는 논이다. 수렁이 깊어서 벗고 들어가야 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 병목안 : 옥마 저수지 안쪽을 말한다. 옥마저수지 제방자리가 좁아 병목에 해당되고 안쪽의 넓은 지역을 병목안 이라고 한다. ◎ 산적골 : 뒷동산 북동쪽 산업도로가 지나가는 골짜기로 옛부터 돼지가 젖먹이는 형국이라는 설이 있다. ◎ 새암구비 : 성주터널이 있는 곳이다. 이곳에는 큰 소나무가 있었고 그 밑에 샘이 있었는데 나뭇꾼들이 쉬어가던 곳이었다. ◎ 서낭댕이 : 느랏에서 이천으로 넘어가는 길의 느랏쪽 중턱에 있었다. 작은 나무가 新木으로 서있었으며 돌무더기가 쌓여 있어 돌을 3개 던지고 침을 3번 뱃고 지나가곤 하였다. ◎ 성주샘 : 맷독거리 동북쪽에 있는 샘으로 맷독거리 사람들이 모두 이 물을 이용하였다. 물맛이 아주 좋았다고 한다. ◎ 송쟁이 : 종축장 북쪽 옥마역 서쪽에 있는 마을로 과거에는 가옥이 많지 않았으나(1930년대 6집 정도) 근래에는 광산 아파트가 들어서 큰 마을이 되었고 보령시청이 근처에 들어서서 발전이 기대되는 곳이다. ◎ 송정(松亭) : 송쟁이의 한자식 표현이며 1960년대 명천 5구(區) 중 1구(區)이다. ◎ 수청거리 : 대천고등학교와 성모병원 사이에 있는 마을이다. 옛 한내 돌다리로 통하던 길과 동대동으로 통하던 길이 만나던 삼거리가 있는데 이 곳을 수청 삼거리라 하였고 그 근처 동네를 수청거리라고 한다. 수청삼거리를 중심으로 명천동, 동대동, 궁촌동으로 구분하였다. 새로운 도로의 개통으로 장항선 국도에서 해수욕장 도로가 갈라지는 곳을 수청삼거리라고도 부르며 이 도로변에 가옥이 밀집되었다. 이 밀집된 마을을 모두 수청거리라고 부른다. ◎ 수청동(水淸洞) : 수청거리의 한자식 표기이며 1960년대 명천5구(區)중 1구(區)이다. ◎ 수펄 : 해너물들과 청룡굴 사이의 들이다. ◎ 숨방골 : 명천폭포 밑 골짜기이다. ◎ 신경대 : 오막당 동남쪽 골짜기이다. ◎ 쏙벌 : 깨차밭골 밑에 있는 들이다. 물이 귀해서 농사짓기 어려웠다고 한다. ◎ 양지뜸 : 으름내의 북쪽 마을이다. ◎ 방전(於田) : 느랏의 한자식 표현이다. ◎ 오막당 : 대천시청 부지에서 성주터널 쪽으로 가는 길가에 있는 작은 마을이다. 옥마산이 보이는 오목한 곳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 오소리골 : 산적골 위에 있는 작은 바래기재 밑에 있는 골짜기로 오소리가 많아서 붙임 이름이라고 한다. ◎ 옥마산(玉馬山) : 성주산 줄기로 TV중계소가 있는 봉루리를 말한다. 옥마봉이라고도 한다. 명천동, 남포면, 성주면의 경계를 이룬다. 해발 600.8m이며 꼭대기에 삼각점이 있다. ◎ 으름내 : 맷독거리 동쪽 마을을 통칭하여 으름내라고 부른다. 남포와의 경계 하천인 이름내를 따서 부른 이름으로 보인다. ◎ 으름내 산제당 : 대영사 바로 뒤에는 으름내와 맷독거리에서 위하던 산제당이 있었다. 이 산제당은 단칸 기와 지붕으로 되어 있었고 3벽에 그림이 그려져 있었는데 약 200년 전에 세웠다고 한다. 제는 정월 초 3일에 걸립(乞粒)을 해서 날을 잡아 지냈다고 한다. 산제당 앞에 절이 생기고 난후 산제를 지내지 않았으며 산제당도 무너져 없어졌다. ◎ 으름내 삼거리 : 으름내 동네 안에 있는 삼거리이다. ◎ 음지뜸 : 으름내의 남쪽 마을로써 남포와의 경계이다. ◎ 이명동들 : 한내 국민학교 동쪽의 들로 청라 저수지를 만들기 이전에는 물이 귀하여 농사짓기 무척 힘들었던 곳이다. 현재 명천 주공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 이천(伊川) : 으름내의 한자식 표이다. 여지도서(與地圖書)에 이(伊)을음천리(音川里)라고 표기한 것으로 보아 으름내를 이(伊)을음천(音川)으로 표기하다가 이천(伊川)으로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 1960년대 명천 5구(區)중 1구(區)이다. ◎ 작은골 : 참새골 남쪽의 성주산 골짜기이다. ◎ 작은바래기 고랑 : 작은 바래기재 남쪽에 있는 계곡이다. ◎ 작은 바래기재 : 성주터널 북쪽에 있던 고개로 성주로 나무하러 다닐 때 넘던 고개이다. ◎ 작은 송쟁이 : 송쟁이의 남쪽지역이다. ◎ 저둘레 : 청룡굴과 으름내 사이의 언덕으로 으름내 쪽으로 2곳의 서낭댕이가 있었다. ◎ 진등 : 대천 종축장 자리이다. 등처럼 높고 길다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이곳에는 옛날에 소나무가 많았다고 한다. 종축장이 들어선 후 초지를 조성하였다. ◎ 참새밭 : 느리재골 남쪽의 성주산 계곡이다. ◎ 청룡굴 : 옥마저수지 밑 골짜기 논으로 물이 풍부해서 구름만 끼어도 물이 남는다는 들이다. ◎ 큰바래기재 : 성주터널 위에 있던 재이다. 성주로 넘어다니던 고개로 나뭇꾼이 많이 다녔다. ◎ 큰송쟁이 : 송쟁이의 북쪽 지역이다. ◎ 턱굴 : 느랏과 송쟁이 사이의 골짜기이다. ◎ 해너물들 : 맷독거리와 종축장 사이에 있는 들이다. ◎ 흠턱굴 : 대영사가 있는 골짜기이다. 이곳에는 산제당이 있었다. 비가 오면 골짜기로 물이 하얗게 내려와 멀리서 보면 흰말과 같이 백말이라고도 불렀다. ◎ 흥곡(興谷) : 1960년대 명천동 4구(區)중 1구(區)로 흥덕굴의 한자식 표현이다. ◎ 흥덕굴 : 한내국민학교 남쪽 국도변에 위치한 마을이다. 1930년대에는 7가구 정도가 있었으나 수리시설이 좋아진 후 인구가 급증하였다고 한다. 흥덕동(興德洞)-보령시의 6개 동 중 하나이다. 1986년 대천시 승격과 더불어 명천동과 궁촌동을 합하여 흥덕굴의 이름을 따 흥덕동이라고 하였다. 1995년 시군 통합 이후에도 관할구역은 같다. |